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목 : 리튬 배터리 vs 알칼리 배터리 – UN 번호 부여 기준과 차이점, 리튬 배터리의 UN 번호 부여 기준, UN 번호 부여 기준으로 본 두 배터리의 관계

by twotwo3 2025. 4. 17.

배터리의 여러 그림들

리튬 배터리 vs 알칼리 배터리 – UN 번호 부여 기준과 차이점

**UN 번호(United Nations Number)**는 위험물의 국제 운송 시 물질의 종류와 위험성에 따라 부여되는 4자리 숫자입니다.
리튬 배터리(Lithium Battery)와 알칼리 배터리(Alkaline Battery)는 모두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전지이지만, 화학적 구성과 위험도에서 차이가 나며, 이에 따라 각기 다른 UN 번호가 부여됩니다.


1. UN 번호란 무엇인가?

UN 번호는 UN 산하의 **위험물 운송 전문가 위원회(UNSCETDG)**가 국제적으로 위험물 수송을 통일하기 위해 만든 식별번호입니다.
이 번호를 통해 전 세계 어디서든 위험물의 성질을 식별하고, 운송, 저장, 취급 시 필요한 포장 기준, 라벨링, 응급조치 지침 등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리튬 배터리의 UN 번호 부여 기준

✅ 주요 UN 번호

배터리 종류UN 번호설명
리튬 이온 배터리 (충전 가능) UN 3480 단독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장비 내 포함 UN 3481 장비 내 또는 함께 포장
리튬 금속 배터리 (1차 전지, 비충전) UN 3090 단독 배터리
리튬 금속 배터리 장비 내 포함 UN 3091 장비 내 또는 함께 포장

✅ 부여 기준

리튬 배터리는 화재 및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고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에 따라 UN 번호는 다음 기준에 따라 구분됩니다:

  • 전기화학적 성분: 리튬 금속 vs 리튬 이온 성분입니다.
  • 충전 가능 여부: 1차 전지(비충전) vs 2차 전지(충전) 분류됩니다.
  • 포장 방식: 단독 포장 vs 장비 내 설치 vs 장비와 함께 포장됩니다.
  • 배터리 용량(Wh): 소형/대형 배터리에 따라 규제 강화됩니다.

즉, 리튬 배터리는 화학반응 시 발생할 수 있는 열폭주(thermal runaway), 연소, 가스 방출 등의 위험을 반영하여 UN 3090, 3091, 3480, 3481 등으로 세분화됩니다.


3. 알칼리 배터리의 UN 번호 부여 여부

알칼리 배터리는 보통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1차 전지(비충전형)**입니다.
대표적으로 AA, AAA, D형, C형 배터리가 이에 해당하며, 화학적으로 망간산화물(MnO₂)과 아연(Zn)의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합니다.

✅ UN 번호 존재 여부

대부분의 일반 알칼리 배터리(예: Duracell, Energizer 등)는 UN 번호가 부여되지 않습니다.
이는 해당 배터리가 다음의 기준을 충족하기 때문입니다:

  • 폭발성 없어야 합니다.
  • 인화성 액체 또는 가스 방출 없어야 합니다.
  • 운송 중 특별한 위험성 없어야 합니다.
  • 내부 전해질이 누출되지 않을 구조가 되어야 합니다.

✅ 예외

다만, 대용량 알칼리 배터리 또는 산업용 배터리는 화학적 위험성이 있거나, 누출 시 부식성 위험이 있는 경우 UN 번호가 부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알카라인 배터리는 부식성 물질로 분류되어 UN 2795 (Battery, wet, non-spillable) 등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AA, AAA 알칼리 배터리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4. 두 배터리의 UN 번호 부여 방식 비교

항목리튬 배터리알칼리 배터리
위험물 분류 Class 9 (기타 위험물) 대부분 비위험물
UN 번호 3090, 3091, 3480, 3481 대부분 없음
화학 반응 특성 고온·화재 시 폭발 위험 비교적 안정적
운송 규정 IATA DGR, IMDG Code 필수 일반 운송 가능
포장 기준 Packing Instruction 필수 일반 포장 가능
라벨·마킹 위험물 라벨 부착 의무 보통 불필요

5. UN 번호 부여 기준으로 본 두 배터리의 관계

리튬 배터리와 알칼리 배터리는 모두 전기를 저장·공급하는 장치이지만, 국제 운송 안전의 관점에서 볼 때 서로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분류됩니다. 이 차이는 UN 번호 부여 여부에도 명확히 반영됩니다.

✅ 관계 요약

  1. 용도는 같지만 위험성이 다름
    • 둘 다 전지지만, 리튬은 반응성이 매우 높아 폭발 가능성이 있어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 알칼리는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일반 화물로 간주됩니다.
  2. UN 번호는 '위험도'에 따라 부여
    •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위험한 화학반응 가능성이 있으면 UN 번호가 부여됩니다.
    • 리튬 배터리는 내부 단락, 과열, 충전 이상 등의 사고가 자주 보고됩니다.
  3. 포장 및 운송 규정에도 차이 발생
    • 리튬은 PI 번호 따라 포장 필수, 라벨 및 운송문서 작성 의무의 차이를 정확하게 알고 취급해야 합니다.
    • 알칼리는 대부분 일반 상품과 동일 취급 가능합니다.
  4. 기술 발전에 따른 변화
    • 리튬 배터리가 소형화, 고용량화되면서 위험성도 증가 → 규제 강화되고 있습니다.
    • 알칼리 배터리는 구조적 개선으로 위험 요소 감소 → 규제에서 제외되고 있습니다.

6. 실제 사례로 본 UN 번호 분류 차이

사례 1) 스마트폰 배터리

  • 리튬 이온 배터리 내장 → UN 3481입니다.
  • 항공 운송 시 DGD 작성, PI 967 기준 포장 필요합니다.

사례 2) TV 리모컨 배터리

  • AA 알칼리 배터리 → UN 번호 없습니다.
  • 일반 화물로 운송 가능, DGD 불필요합니다.

사례 3) 산업용 알칼리 배터리

  • 고용량, 액체 전해질 사용 → 누출 가능성 존재합니다.
  • 경우에 따라 UN 2795 (Battery, wet, non-spillable) 등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7. 결론

리튬 배터리와 알칼리 배터리는 전기저장장치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위험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에 따라 UN 번호의 부여 여부가 갈리며, 리튬 배터리는 다양한 형태로 UN 번호가 존재하고, 알칼리 배터리는 대부분 UN 번호 없이 일반 화물로 간주됩니다.

UN 번호는 단순한 구분이 아니라, 물질의 화학적 반응성, 폭발성, 누출 가능성 등 위험도 전반을 평가하여 부여됩니다.
따라서 배터리처럼 비슷한 물질도 그 화학적 특성과 구조에 따라 완전히 다른 규제를 적용받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