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주제]
수학포기자가 수학을 다시 할 수 있으려면 무얼 해야 할까?
수학은 많은 사람에게 두려움의 대상입니다. 특히 한 번 수학을 포기한 사람들은 "나는 수학 머리가 없어", "다시 시작해도 못 따라갈 거야"라는 생각에 갇혀 다시 손도 대지 않으려 하죠. 그러나 수학을 못 하는 게 아니라, 방법을 몰라서 어려운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 강의에서는 수학포기자들이 수학을 다시 시작하고, 이해하고, 점차 실력을 키워가는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합니다. 단순한 의욕이 아닌, 구체적이고 검증된 단계별 방법을 통해 누구나 수학을 다시 공부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1. 수학포기의 근본 원인 파악: ‘이해단절’과 ‘자기 효능감 부족’
수학을 포기하게 되는 주요 이유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개념 이해가 끊긴 시점이 존재함
- 수학은 누적식 학문입니다. 예를 들어 초등 고학년 때 분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중1에서 유리수나 방정식을 배울 때 벽을 느낍니다.
- 이후 나오는 내용이 다 ‘외계어’처럼 느껴지며, 수학에 대한 흥미가 급격히 식습니다.
- 성취 경험 부족으로 인한 자기효능감 상실
- 몇 번 풀어도 이해가 안 되거나, 시험에서 계속 낮은 점수를 받으면 ‘나는 수학 못해’라는 자기 인식이 형성됩니다.
- 이 인식은 ‘시도 자체’를 막습니다. 뇌는 새로운 도전보다 익숙한 포기를 선택하게 되죠.
📌 그래서 중요한 건 단순히 문제집을 다시 푸는 게 아니라, 이해가 끊긴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성취감을 다시 느낄 수 있는 학습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2. 수학 학습의 올바른 시작: 개념부터, 아주 천천히
수학포기자가 처음부터 다시 공부할 때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 ① 개념만 학습하는 1단계 (문제 X)
- 문제를 풀기 전, 개념 영상만 반복해서 시청
- 수학 개념은 말로 설명되고 그림으로 표현될 때 더 쉽게 이해됩니다.
- 예를 들어 ‘문자와 식’을 공부할 때 ‘a + b = b + a’가 뭘 의미하는지를 생활 속 예시와 함께 설명해주는 강의를 먼저 봅니다.
👉 추천 채널:
- 정승제 (개념 위주 설명 잘함)
- 이지선생님 (수포자 전용 강의 다수)
- 수학의 희열, 개념 있는 수학 등
📌 ② 5문제만 푸는 2단계 (정답보다 해설)
- 개념을 들었다면 바로 문제를 50문제씩 푸는 게 아니라, 대표 문제 5개 정도만 골라 풉니다.
- 이때 중요한 건 정답을 맞히는 게 아니라, “왜 이렇게 푸는지” 사고 과정을 따라가는 것입니다.
- 해설을 직접 적어보는 연습을 병행해야 사고력이 자랍니다.
3. 자신에게 맞는 교재와 학습 루틴 설정
📘 추천 교재
완전 입문 | 숨마쿰라우데 스타트업 | 중1~고1 전 기초 다룸 |
초중급 | 개념원리 기본편 | 각 단원별 개념을 친절히 설명 |
실전 유형 | 쎈 라이트 | 단순 유형 반복으로 훈련 가능 |
기초 사고력 | 체크체크 개념북 | 서술형 개념 설명 우수 |
👉 교재는 한 권만 정해서 끝까지 보는 게 핵심입니다. 여러 권을 동시에 하려 하면 중간에 지칩니다.
🕐 학습 루틴
- 매일 30분씩, 최대 1시간까지만
- 하루 한 개념, 5문제 이하만
- 문제를 풀고 오답노트 대신 해설노트 쓰기
💡 해설노트란?
- 내가 푼 문제 중 어려웠던 걸 내 말로 설명하는 노트입니다.
-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건 자기 언어로 이해하는 능력이기 때문에, 해설노트를 쓰면 개념이 머리에 정착됩니다.
4. 반복 학습보다 중요한 것: 자신감과 질문력 회복
수학 실력이 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질문을 안 하기 때문"입니다. 이해가 안 되는 순간 그냥 넘기기 때문이죠.
📌 질문하는 법 훈련하기
- “이건 왜 이렇게 푸는 거지?”를 혼잣말로라도 자꾸 물어보세요.
- 질문을 글로 정리해보세요. (예: “x 앞에 숫자가 왜 바뀌었지?”)
- 질문을 해결해줄 수 있는 사람이나 커뮤니티를 찾으세요.
👉 추천 커뮤니티:
- 네이버 카페 [수학사랑]
- 유튜브 채널 Q&A
- 오픈채팅 '수포자 공부방' 등
5. 수학 공부에 도움이 되는 디지털 도구 활용법
Photomath | 문제를 찍으면 풀이가 나옴 | 풀이 과정을 분석하며 공부할 것 |
Khan Academy | 미국식 개념 설명, 한글 자막 있음 | 기초부터 정리할 때 적합 |
미리캔버스 | 해설노트 만들 때 시각적으로 정리 가능 | 공부자료 만들기 좋음 |
ChatGPT | 개념 설명 요청, 오답 분석 가능 | 단순 정답보다 이유 설명 요청해야 효과 |
6. 수학, 잘 하려 하지 말고 ‘이해하려’ 해보세요
수학은 이해하면 절대 잊히지 않는 과목입니다. 단순 암기보다 개념 간 연결을 이해하면 공부가 훨씬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 다항식을 배우기 전, 단항식이 뭔지
- 연립방정식을 배우기 전, 단일 방정식이 어떻게 풀리는지
이런 흐름을 따라가며 공부하면 수학이 ‘연결된 이야기’처럼 느껴지고, 그 순간부터는 두려움이 줄어듭니다.
[결론: 수학, 누구든지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수학은 절대로 머리 좋은 사람만 잘할 수 있는 과목이 아닙니다. 단지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 그 끊어진 고리를 찾고, 다시 차근차근 쌓아가기만 하면 됩니다.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방향입니다. 오늘 10분만이라도 수학을 이해해 보려 노력했다면, 이미 당신은 어제보다 훨씬 수학에 가까워진 것입니다.
💡 이제 수학을 포기한 게 아니라, 다시 시작하는 시간입니다. 지금부터 차근차근, 천천히 다시 쌓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