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옴니보어(Omnivore) 소비
🔍 개념:
옴니보어는 ‘omnivore’(잡식성 동물)에서 유래된 말로, 특정 브랜드나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브랜드와 문화를 넘나드는 소비자 행동을 뜻합니다. 소비자들은 자신만의 취향을 추구하며, 기존의 규격화된 소비 패턴을 탈피하고 다양한 옵션을 즐깁니다. 예를 들어, 명품 브랜드의 가방을 구매하되, 그 외의 의류는 중저가 브랜드에서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 개념
- 특정 브랜드나 한 가지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브랜드와 문화를 넘나드는 소비 패턴
- ‘하이앤로우 믹스(High & Low Mix)’ 스타일이 대표적 (예: 명품 가방 + SPA 브랜드 옷)
- 개성과 취향을 중시하는 MZ세대에서 두드러지는 현상
📌 사례:
- 패션: 명품 브랜드(예: 샤넬, 구찌)와 스트리트 브랜드(예: 유니클로, 스투시)를 믹스매치하여 나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만드는 패션 트렌드가 대세입니다.
- 음악: 전통적인 팝, 힙합 음악에 아시아의 전통 악기를 사용한 퓨전 음악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TS는 K-pop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며, 다양한 음악 장르를 융합하고 있습니다.
- 음식: 고급 레스토랑에서는 한식, 중식, 일식 등이 융합된 메뉴를 선보여 다양한 맛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습니다(예: 김치 타코, 불고기 피자).
📌 사례- 패션: 명품 가방에 유니클로 티셔츠, 나이키 신발을 조합
- 식품: 고급 레스토랑에서 메인 요리 → 길거리에서 디저트
- IT 기기: 애플 맥북 + 삼성 갤럭시폰 조합 사용
📌 구체적인 변화:
- 브랜드 충성도에서 다변화로: 과거에는 특정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중요했지만, 이제 소비자들은 한 가지 브랜드나 제품에 묶이지 않고 여러 브랜드를 자유롭게 섞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사람이라도 삼성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구글의 서비스(예: Gmail, YouTube)를 활용하고, 그 외의 기술적 요구는 애플의 제품을 사용해 충족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 브랜드와 가치관: 소비자들이 제품을 선택할 때, 가격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책임도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환경 친화적인 브랜드(예: Patagonia, Allbirds)나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는 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2. 아보하(Aboha) 라이프
🔍 개념:
‘아보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보람차고 행복하게 느낄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뜻하는 신조어로, 과로 사회에서 벗어나 소소한 일상의 만족을 중요시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이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만족과 마음의 평화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 개념
- "아무것도 안 해도 보람차다"의 줄임말
- 성취 중심의 삶에서 벗어나 일상 속 소소한 행복을 즐기는 태도
- 과로 사회에서 벗어나 멍때리기, 낮잠, 명상 등 느긋한 삶을 지향
📌 사례:
- 소확행(소소한 확실한 행복): 일주일에 한 번 좋아하는 카페에 가서 차 한잔 마시고, 책을 읽으며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는 것.
- 디지털 디톡스: 스마트폰과 SNS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며, ‘마음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한 가치로 떠오릅니다.
- 힐링 여행: 정신적 충전과 힐링을 추구하는 여행 트렌드가 강해지며, '호텔보다는 작은 게스트하우스' 같은 편안한 장소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 사례- 카페에서 책 읽기, 집에서 반려식물 돌보기
- '노(無)스펙' 트렌드: 학벌, 직장보다는 행복한 삶을 우선시
- ASMR·슬로우 라이프 콘텐츠 인기
📌 구체적인 변화:- 소소한 행복 찾기: 더 이상 극단적인 성취를 추구하기보다는, 작은 기쁨을 소중히 여기고 이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한 번은 꼭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거나, 평일 저녁엔 집에서 편안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시됩니다.
- 디지털 디톡스: 스마트폰과 SNS에 너무 많이 의존하는 시대에서 벗어나, 일부러 디지털 기기와의 연결을 끊고 오프라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디지털 디톡스’가 하나의 생활 습관으로 자리잡고 있죠.
3. 토핑경제(Topping Economy) 외
🔍 개념:
기본적인 상품에 자신만의 취향을 반영한 추가적인 옵션을 선택하는 소비 방식입니다. 소비자들이 기본 제품에 추가적으로 원하는 기능이나 요소를 더해 맞춤형 제품을 구매하는 트렌드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개념
- 기본 제품에 추가적인 요소를 더해 맞춤형 소비를 하는 현상
-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중요
📌 사례:
- 패션: 커스텀한 신발 디자인(예: 나이키 ID 서비스)은 소비자가 직접 색상이나 소재를 선택할 수 있어, 자신의 개성을 담을 수 있습니다.
- 음식: 스타벅스나 커피전문점에서 샷 추가, 시럽 변경, 우유 종류 변경 등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선택권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 기기: 스마트폰, 컴퓨터에서 성능이나 디자인을 선택하는 옵션을 제공하여 소비자가 본인의 필요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acBook Pro’에서 메모리 크기나 저장 용량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해줍니다.
📌 사례- 스타벅스: 음료 주문 시 샷 추가, 시럽 변경 등 옵션 다양화
- 패션: 나이키·아디다스 맞춤형 신발 제작 서비스
- 자동차: 테슬라 오토파일럿·인테리어 옵션 선택
📌 구체적인 변화:
- 커스터마이징(맞춤형 소비): 패션과 소비재는 점점 더 맞춤형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나 아디다스 같은 스포츠 브랜드는 소비자가 신발의 색상, 디자인, 소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소비자는 자신만의 개성에 맞춘 제품을 구매하는 즐거움을 얻습니다.
- 음식과 음료의 맞춤화: 커피, 음료, 음식도 마찬가지로 커스터마이징을 선호하는 추세입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에서는 샷의 양, 시럽 종류, 우유의 종류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고객 맞춤형 음료를 즐길 수 있습니다.
4. 페이스테크(Face-Tech)
🔍 개념:
얼굴 인식 기술을 활용한 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으로 편리한 생활이 가능해졌고, 더 이상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카드 결제를 할 필요 없이 얼굴만으로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사례:
- 스마트폰: 아이폰의 ‘Face ID’와 삼성의 얼굴 인식 잠금 해제 기능은 사용자 편의를 위해 얼굴 인식 기술을 도입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스마트 시티: CCTV를 이용한 얼굴 인식 기술을 통해, 범죄 예방과 공공 안전을 강화하는 프로젝트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결제 시스템: 중국의 알리페이나, 한국의 삼성페이에서는 ‘얼굴 인식’을 통한 결제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빠르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게 해줍니다.
📌 구체적인 변화:
- 생체 인식 기반의 결제 시스템: 얼굴 인식과 생체 인식 기술을 통해 카드 결제 없이도 얼굴만으로 결제가 가능해졌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알리페이나, 삼성페이는 얼굴 인식 결제를 도입하여 결제 절차를 더욱 간편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 보안 및 공공 안전: 얼굴 인식 기술은 보안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공공 장소나 대중교통에서 얼굴 인식을 통한 출입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공공 안전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 무해력(Harmless Power)
🔍 개념:
강하고 카리스마 있는 리더보다 ‘부드럽고 친근한 리더십’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현상입니다. 이제 사람들은 강력한 리더십을 원하지 않고, 자신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며 편안함을 주는 스타일을 선호합니다.
📌 사례:
- 연예계: 예를 들어, 차은우나 정해인과 같은 스타들은 부드럽고 다정한 이미지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브랜드 마케팅: 기업들도 이제 강압적인 마케팅 대신, 친근하고 유쾌한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와의 친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예: 카카오프렌즈, 무직타이거와 같은 캐릭터 브랜드.
📌 구체적인 변화:
- 기업과 브랜드의 이미지 변화: 기업과 브랜드는 이제 공격적인 마케팅보다, ‘편안하고 친근한’ 이미지를 강조하며 소비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는 ‘카카오프렌즈’를 내세워 친근한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무직타이거 같은 귀여운 캐릭터들도 마케팅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연예인과 인플루언서의 이미지 변화: 유명 인물들도 이제 과거의 ‘강한 리더’ 이미지에서 벗어나 부드럽고 다정한 이미지를 추구하는 경향이 커졌습니다. 예를 들어, 차은우나 정해인 같은 연예인들이 여성 팬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그들의 부드럽고 온화한 이미지 때문입니다.
6. 그라데이션 K(Gradation K)
🔍 개념:
K-컬처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한국 문화가 현지화되고, 문화적 결합이 이루어지는 현상입니다. 즉,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인 요소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 융합되면서 글로벌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사례:
- K-팝: BTS나 블랙핑크와 같은 K-팝 그룹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음악적 요소를 흡수하면서도 한국적인 정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죠.
- K-푸드: 전 세계적으로 김치, 비빔밥, 떡볶이 등이 인기 있으며, 이제는 김치 타코나 불고기 피자와 같은 퓨전 요리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 K-뷰티: 한국의 스킨케어나 화장품 브랜드가 해외에서 현지 시장에 맞춰 제품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 구체적인 변화:
- K-팝의 글로벌화: BTS와 블랙핑크는 그들의 음악에 다른 문화적 요소들을 결합하여 세계 각지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K-팝은 단순한 한국적 요소를 넘어서, 미국, 유럽, 일본 등 다양한 음악적 색깔을 통합하여 글로벌한 팬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K-푸드와 퓨전 요리: 한국의 전통 음식을 현대적이고 글로벌하게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김치 타코’와 같은 퓨전 요리가 전 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는 K-푸드가 단순한 한국 음식이 아닌, 다양한 문화를 결합하는 식문화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7. 물성매력(Material Appeal)
🔍 개념:
디지털 환경이 확산되면서 사람들은 물리적인, 촉감이 있는 제품이나 경험에 대한 가치를 더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물리적인 감각을 자극하는 제품이나 경험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사례:
- 종이책: 전자책이 일반화되었지만, 여전히 종이책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책을 손에 들고 종이의 질감을 느끼는 것이 더 편안하고 안정감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아날로그: LP 레코드, 필름 카메라 등 디지털화된 시대에서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추구하는 소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패션: 울, 리넨, 가죽과 같은 질감 있는 소재들이 소비자들에게 더 큰 매력을 느끼게 합니다.
📌 구체적인 변화:
- 종이책과 아날로그 열풍: eBook과 디지털 콘텐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종이책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습니다. 이는 디지털 화면 대신 종이책을 통해 ‘촉감’을 느끼고 싶어하는 소비자가 많다는 점에서 물성매력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아날로그 제품의 부활: LP 레코드, 필름 카메라와 같은 아날로그 제품들이 다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은 디지털 시대에 잃어버린 ‘물리적 경험’을 다시 제공하며, 그 자체로 감성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