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목 : 위험물 포장 시 필수! 포장 용기의 종류와 적용 기준, UN 인증 포장 용기의 구조와 표시 방법, 결론

by twotwo3 2025. 5. 8.

검증 도장

위험물 포장 시 필수! 포장 용기의 종류와 적용 기준

 

DG(Dangerous Goods, 위험물) 운송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바로 포장입니다. 아무리 소량의 위험물이라도, 포장 규정에 맞지 않으면 운송 자체가 거부될 수 있으며, 잘못된 포장은 화재, 폭발, 누출 등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제 기준(UN Model Regulation, IATA DGR, IMDG Code 등)에서는 포장 용기에도 철저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충족하는 용기만이 위험물 포장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포장 용기의 종류, 성능기준, 등급, 표시 방법, 실무 적용 방식까지 포괄적으로 정리합니다.


1. 포장 용기의 기본 분류

위험물 포장에 사용되는 용기는 크게 **주포장(Inner Packaging)**과 **외부포장(Outer Packaging)**으로 나눌 수 있으며, 조합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됩니다.

✅ 단일 포장 (Single Packaging)

  • 내용물을 직접 담는 1개의 용기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예: 드럼통, 금속 캔, 플라스틱 통 등입니다.
  •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야 하며, 내압/누출 방지 필수입니다.

✅ 복합 포장 (Combination Packaging)

  • 내부 포장(Inner)과 외부 포장(Outer)을 함께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 예: 유리병 + 완충제 + 골판지 상자입니다.
  • 액체나 반응성 고체물질에 주로 사용합니다.

✅ 복합용기 (Composite Packaging)

  •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결합된 하나의 구조체입니다.
  • 예: 플라스틱 라이너가 들어간 섬유 드럼입니다.

2. UN 인증 포장 용기의 구조와 표시 방법

모든 위험물 포장 용기는 UN 인증 마크를 보유해야 하며, 이는 국제 기준에 따른 내구성 및 안전성 검증을 통과했음을 의미합니다.

🔷 UN 인증 마크 구조 예시

 
UN 4G/Y30/S/24/KR/AB1234

📌 항목별 설명

항목설명
UN 국제 위험물 포장용 인증 표기
4G 용기 유형 (4 = 박스류, G = 종이상자)
Y 포장등급 (X = 고위험, Y = 중간, Z = 저위험)
30 최대 허용 중량 또는 리터 수
S 고체 (Solid) / L = 액체 (Liquid)
24 제작연도 (2024년)
KR 제조국 코드 (한국)
AB1234 제조사 또는 인증번호
 

이 표기를 통해 어떤 물질에, 어느 정도 용량까지 사용 가능한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포장 용기 등급별 기준

위험물은 포장군(Packing Group, PG)에 따라 위험 정도를 나누며, 이에 따라 포장 용기의 성능 등급도 달라집니다.

포장군(PG)위험도사용 가능 포장 등급
PG I 고위험 X, Y, Z 가능 (X 권장)
PG II 중간위험 Y, Z 가능 (Y 권장)
PG III 저위험 Z 가능
 
  • 예: PG I 물질은 반드시 X 등급 포장 용기 사용합니다.
  • 반대로 PG III는 Z등급만 있어도 충분합니다.

4. 포장 용기 재질별 종류

포장 용기는 포장 물질에 따라 다음과 같은 재질이 사용됩니다:

✅ 금속(M)

  • 강도 높고 내화학성 우수합니다.
  • 액체류, 인화성 물질에 주로 사용합니다.
  • 드럼, 캔 형태가 많습니다.

✅ 플라스틱(P)

  • 가볍고 내충격성 뛰어납니다.
  • 대부분의 일반 화학물질에 적합합니다.
  • 변형되기 쉬우므로 내압 시험 필수입니다.

✅ 종이/목재(W)

  • PG III 등급 이하에서 사용합니다.
  • 보통 외부포장(Outer)으로 활용합니다.
  • 내수/내유 코팅 여부 중요합니다.

✅ 유리/세라믹(G)

  • 내화학성 뛰어나지만 충격에 취약합니다.
  • 복합포장에서 내부포장으로 활용합니다.

5. 포장 시 적용 규정 (IATA DGR 기준)

항공운송 시 적용되는 포장 용기 규정은 IATA DGR Packing Instruction을 통해 확인하며, UN 번호 및 클래스별로 상세히 지정되어 있습니다.

예시:

  • UN1993 (인화성 액체): PI Y344
    • 1차: 내포장 유리병 (1L 이하)이다.
    • 2차: 폼 또는 종이 완충재입니다.
    • 3차: UN 4G 박스 사용합니다.
  • UN3077 (환경유해물질): PI 956
    • 복합포장 또는 단일 플라스틱 통 (20kg 이하)입니다.

6. 실무 포장 적용 시 유의사항

  1. 용기 상태 확인
    • 재사용 용기는 균열, 마모, 녹 발생 여부 점검 해야 합니다.
    • 뚜껑, 실링, 밸브 등 밀폐 여부 철저히 확인 해야 합니다.
  2. 적합성 문서 보관
    • UN 인증서 또는 성능시험 성적서는 반드시 보관해야 합니다.
    • 포워더나 항공사에서 요구 시 즉시 제출 가능해야 합니다.
  3. 내용물 변화 시 재검토
    • 같은 용기라도 내용물이 달라지면 포장 조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표기 누락 금지
    • UN 번호, 위험물 라벨(Class), 방향표시(↑↑), 적하주의 등 필수 표기 항목을 반드시 부착해야 합니다.

결론

위험물 포장의 핵심은 '적합한 용기의 선택과 정확한 적용'

DG 운송에서 포장 용기는 단순한 ‘그릇’이 아닙니다. 법적으로 규정된 안전장치이자, 사고 예방의 핵심 장치입니다. 적합한 포장 용기를 사용하고, UN 인증 마크와 포장등급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안전하고 합법적인 운송의 첫걸음입니다. 제품의 위험성, 물성, 운송 방식(IATA, IMDG, ADR 등)에 따라 반드시 **포장 지침(Packing Instruction)**을 사전에 검토하고 적용해야 하며, 불확실할 경우 전문가와 사전 협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