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목 : ESDS 구성요소 중 SECTION 7: Handling and Storage (취급 및 보관), Storage (보관 방법), 결론

by twotwo3 2025. 4. 23.

금고 사진

ESDS 구성요소 중 SECTION 7: Handling and Storage (취급 및 보관)

SECTION 7은 위험물(Dangerous Goods, 이하 DG) 자재를 안전하게 **취급(Handling)**하고 **보관(Storage)**하는 방법을 기술한 매우 중요한 항목입니다. 이 섹션은 화학물질, 전자부품, 배터리 등 DG 물품의 취급에 관여하는 근로자, 물류 관리자, 운송 담당자 등이 사고 없이 안전하게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이 내용은 국제표준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s) 기준을 바탕으로 작성됩니다.

1. 일반적인 목적과 중요성

SECTION 7의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작업자의 안전 확보입니다.
  • 화학반응이나 폭발 등의 사고 예방합니다.
  • 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특성 보존입니다.
  • 타 물질과의 부적절한 접촉 방지입니다.
  • 운송, 창고, 생산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위험요소 최소화입니다.

DG 자재는 일반 제품과는 달리 보관 조건, 온도, 습도,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적절한 매뉴얼을 따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 Handling (취급 방법)

SECTION 7의 첫 번째 하위 항목은 Handling, 즉 취급에 대한 지침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a) 개인보호장비(PPE)의 착용

작업자는 DG 자재를 취급할 때 반드시 적절한 PPE를 착용해야 합니다. 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보호용 장갑 (고무 또는 내화학성 재질)을 착용합니다.
  • 보안경 또는 보호 안경을 착용합니다.
  • 방진 마스크 또는 유기화합물용 마스크 을 착용합니다.
  • 보호복 (필요시 방염 기능 포함)을 착용합니다.

b) 취급 전 사전점검

자재의 상태, 포장 상태, 라벨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며, 손상되었거나 누출된 자재는 보는 즉시 격리 및 보고해야 합니다.

c) 취급 중 유의사항

  • 충격이나 마찰을 피한다.
  • 직사광선, 불꽃, 열원으로부터 멀리 두며 열에 민감한 자재는 냉각 환경에서 다룬다.
  • 정전기 방지를 위한 접지(grounding) 조치가 필요하다.
  • 취급 시 전용 장비(예: 항정적 드럼 핸들러, 방폭 지게차 등) 사용을 권장한다.
  • 개봉 후에는 빠르게 사용하고 잔여물은 밀봉 저장한다.

d) 청소 및 누출 대응

작업 중 누출 발생 시를 대비해 사전에 적절한 **흡수제(Sorbent)**와 폐기 절차를 마련해두어야 하며, 누출된 자재는 지정된 드럼이나 컨테이너에 격리 보관해야 합니다.


3. Storage (보관 방법)

보관은 DG 자재의 안전한 장기/단기 보존을 위한 조건 설정과 환경 유지에 관한 지침입니다. Storage 항목에서는 보관 장소의 구조, 조건, 환경요소 등을 상세히 명시합니다.

a) 보관 장소 조건

  •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합니다.
  • 습기, 온도, 직사광선, 불꽃 등으로부터 격리합니다.
  • 다른 화학물질과의 혼합 보관 금지 합니다.
  • 화학적 반응성이 있는 자재는 분리 보관 합니다.
  • 온도 민감성 물질의 경우 온도계 및 냉장/냉동 장비 사용 합니다.

b) 보관 용기 및 표기

  • 자재는 원래 포장 상태로 보관하며, 포장이 손상되었을 경우 전용 컨테이너로 교체합니다.
  • 용기에는 반드시 물질명, 위험도, 보관 조건 등이 명기된 라벨 부착 합니다.
  • 도난 및 오용을 방지하기 위한 시건장치 설치 권장 합니다.

c) 보관 중 점검

정기적인 재고 점검과 유통기한 또는 안정기한(Expiry date) 확인이 필요하며, 이상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보고하고 조치해야 합니다.

d) 특별 보관 조건

일부 자재는 다음과 같은 특수 조건이 요구됩니다:

  • 가연성 물질: 방폭 창고에 보관, 소화기 비치를 요구합니다.
  • 산화성 물질: 환기구 설치, 별도 보관을 요구합니다.
  • 부식성 물질: 내식성 선반 및 바닥 필요 를 요구합니다.
  • 고압가스: 직사광선 피하고, 안전밸브 검사 필요 를 요구합니다.

4. 기타 참고 사항

SECTION 7에는 보통 아래와 같은 보조 정보도 함께 포함됩니다.

a) 법적 규제사항

  • 해당 물질에 적용되는 국가별 규제 법령(K-REACH, OSHA, 화관법 등) 표시합니다.
  • 운송 및 보관 시 준수해야 할 규정 및 허가 요건 규제 사항입니다.

b) 응급 대응 지침과 연계

취급 또는 보관 중 사고 발생 시 **SECTION 4 (응급조치), SECTION 6 (누출사고 대응)**과의 연계 정보를 기재한다.

c) 취급 훈련

작업자 및 관리자는 DG 자재와 관련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며, 취급 절차에 대한 표준작업지침(SOP) 마련이 요구됩니다.


결론

SECTION 7은 단순한 매뉴얼을 넘어, DG 자재의 안전한 유통과 취급을 위한 ‘실행 가이드라인’입니다. 물류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대부분이 잘못된 보관, 미흡한 취급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이 본문의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이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기업에서는 SECTION 7의 내용을 토대로 자체 관리 방침을 수립하고, 관련 법규와의 정합성도 주기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