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목 : IATA DGR 66판 – Chapter 7Marking and Labeling (표시 및 라벨링) 상세 정리, 필수 표기 정보 (Marking Requirements), 결론 요약

by twotwo3 2025. 4. 18.

책위에 부엉이 박사님 모습


IATA DGR 66판 – Chapter 7

Marking and Labeling (표시 및 라벨링) 상세 정리


1. 표시(Marking) 및 라벨링(Labeling)의 목적

항공 운송 중 위험물을 포함한 화물은 내용물의 특성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어야 하며, 운송자·하역자·승무원·세관·보안 당국 등 모든 관련자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확한 표시(Marking)정해진 라벨(Label) 부착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표시(Marking)**는 글자 또는 기호로 제공되는 정보이며, **라벨(Labeling)**은 위험물의 분류와 위험성 시각화를 위한 규정된 도형과 색상 기반의 경고 표시입니다.


2. 필수 표기 정보 (Marking Requirements)

IATA DGR 제7장에서 요구하는 기본 표기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필수 정보 (모든 포장에 적용)

  • UN 번호: "UN3480", "UN1263" 형식으로 표시합니다.
  • Proper Shipping Name (PSN): 공식 정식 명칭 (예: LITHIUM ION BATTERIES)입니다.
  • 기술명(Technical Name): N.O.S. 또는 혼합물의 경우 필수 병기입니다.
  • 보낸 사람/받는 사람 이름 및 주소입니다.
  • 포장 그룹(PG): 경우에 따라 외부 포장에 명시 (PG I/II/III)입니다.
  • Overpack 사용 시 "OVERPACK" 문구: 포장 외부 눈에 띄는 곳에 있습니다.

2) 표기 요건

  • 영문 대문자, 잘 보이는 색상, 비닐코팅 또는 방수처리합니다.
  • 글자 크기 최소 6mm 이상 (30L 이하의 소형 포장은 예외 가능) 표기 요건입니다.
  • UN 번호는 반드시 "UN" 접두사와 함께 표기 요건입니다.
  • 내용물의 정확한 위험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모든 표기 항목은 실제 내용물과 완전히 일치 요건입니다.

3. 라벨(Labeling)의 크기, 색상, 부착 위치

1) 라벨 크기

  • 표준 크기: 한 변 100mm × 100mm의 정사각형 형태입니다.
  • 소형 포장 예외: 불가피한 경우 50mm × 50mm까지 허용입니다.

2) 부착 위치

  • 외부 포장의 한쪽 측면에 평평하게 부착합니다.
  • 마킹과 라벨이 같은 면에 위치해야 합니다.
  • 라벨은 포장물 개봉 시 손상되지 않도록 부착합니다.
  • 포장재나 외부 환경으로 인해 라벨 식별이 어려운 경우 재부착 또는 추가 표시 필요 합니다.

3) 색상 및 디자인

  • 각 라벨은 IATA에서 정한 색상 규격과 도형을 따라야 하며, 프린트 또는 스티커 모두 가능합니다.
  • 예: Class 3 인화성 액체 – 빨간 배경, 불꽃 아이콘, 숫자 3입니다.

4. 리튬 배터리 라벨 관련 변경사항 (66판 기준)

리튬 배터리는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DGR 66판에서 다음과 같은 라벨링 관련 변경이 적용되었습니다:

1) 리튬 배터리 라벨 종류

  • 리튬 배터리 라벨 (Lithium Battery Mark) – Section II 적용 시 사용합니다.
  • Class 9 라벨 – 리튬 배터리 전용
    • 기존 Class 9 라벨과 구분되는 **"리튬 배터리 전용 디자인"**이 도입됨 (흑백 배경 + 배터리 아이콘 + 불꽃 + 숫자 9) 합니다.

2) 변경 요점

  • 2025년 1월 1일부터는 구형 Class 9 라벨 사용 금지입니다.
  • 신규 리튬 배터리 라벨은 정확한 UN 번호 병기 필수 (예: "UN3480" 또는 "UN3090")입니다.
  • 라벨 크기: 기존 100mm × 100mm 유지, 소형 포장 시 소형 규격 가능입니다.
  • 라벨 테두리는 적색 사선, 배터리 그림과 불꽃 아이콘 포함입니다.

3) 부착 요건

  • Section II 배터리 제품: 리튬 배터리 라벨 + 문서 첨부입니다.
  • Section IA/IB: 일반 위험물로 분류되어 별도 라벨 필요 합니다.
  • Overpack 시: 반드시 외부에 해당 라벨과 "OVERPACK" 문구 함께 부착합니다.

5. 신규 라벨 코드 및 사용 조건

DGR 66판에서는 라벨을 코드 기반으로 관리하여 실무자가 각 클래스 및 특수 위험물에 맞는 라벨을 빠르게 식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주요 라벨 코드 예시:

코드설명적용 클래스
LQ Limited Quantity 마크 위험도 낮은 소량 위험물
9A 리튬 배터리 전용 라벨 Class 9
5.2 유기과산화물 Class 5.2
6.2 감염성 물질 (INFECTIOUS) Class 6.2
R 방사선 경고 라벨 Class 7
F 인화성 고체 Class 4.1

적용 조건

  • 각 라벨은 해당 클래스 또는 UN 번호에 따라 부착 필수입니다.
  • 중복 위험이 있는 경우, 보조 라벨을 추가 부착 (예: Class 3 + Class 6.1) 합니다.
  • Class 9 제품은 반드시 새로운 리튬 배터리 라벨을 부착해야 하며, 일반 Class 9 라벨과 병행 사용 금지입니다.

6. 과산화물 등 특수 위험물 표시 규정

특수 위험물은 다음과 같은 강화 표시 규정이 적용됩니다:

유기과산화물 (Class 5.2)

  • 라벨: 노란색 배경 + 폭발 아이콘 + 숫자 "5.2"입니다.
  • 별도 표시: "DANGEROUS WHEN WET", "KEEP AWAY FROM HEAT" 등 문구 추가 가능입니다.
  • 온도 조절 요건 있을 경우 "TEMPERATURE CONTROLLED" 마킹 추가입니다.
  • 포장 외부에 "CONTROLLED SUBSTANCE" 문구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사성 물질 (Class 7)

  • 방사선 강도에 따라 라벨 3종 구분:
    • Category I – WHITE입니다.
    • Category II – YELLOW입니다.
    • Category III – YELLOW입니다.
  • 각 라벨에는 **TRANSPORT INDEX (TI)**와 방사성 물질 명칭 명기 합니다.
  • 라벨은 외부 포장 양쪽에 부착합니다.

감염성 물질 (Class 6.2)

  • 라벨: 흰색 배경 + 생물위해성 로고입니다.
  • PSN: "INFECTIOUS SUBSTANCE, AFFECTING HUMANS"입니다.
  • 내부 포장 격리 필수, 외부 포장에 "BIOHAZARD" 표시 권장합니다.

자기성 물질 (Class 9 중 일부)

  • 자성 물질이 2m 거리에서 항공기의 나침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입니다.
  • "MAGNETIZED MATERIAL" 라벨 부착 + 컴퍼스 편차 측정 데이터 첨부 합니다.

결론 요약

항목핵심 요약
필수 표기 UN 번호, PSN, 주소, 기술명 등 모두 외부 표기
라벨 크기 기본 100mm 정사각형, 최소 50mm 가능
부착 위치 포장 측면, 라벨과 마킹은 같은 면에 부착
리튬 배터리 라벨 Class 9 전용 신규 라벨 필수 사용 (2025년판부터)
신규 라벨 코드 클래스 및 제품별 라벨 코딩 체계화
특수 위험물 표시 감염성, 방사성, 과산화물 등은 별도 표기 규정 적용

 

이 내용은 위험물의 표시(Marking)  라벨링(Labeling) 관련 최신 규정과 변경 사항을 포괄하며, 실무자·교육 담당자·포장 설계자·운송 책임자에게 유용한 정보입니다.

 

표시 및 라벨링은 단순한 포장 마감 작업이 아니라, 항공기 안전을 지키는 생명줄과 같은 절차입니다.
모든 정보는 정확하고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표현되어야 하며, **IATA가 정한 표준 형식과 최신판 규정(66판 기준)**을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