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목 : IATA DGR 66판 (2025년판) Introduction 구성 상세 설명,주요 용어 정의 및 기본 원칙, DGR 문서의 구성 안내

by twotwo3 2025. 4. 17.

책 사진

IATA DGR 66판 (2025년판) Introduction 구성 상세 설명

IATA DGR(Dangerous Goods Regulations, 위험물 규정)은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항공 위험물 운송에 대한 전 세계 표준 규정입니다. 2025년판은 제66판으로,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위험물 관련 법령, ICAO의 기술 지침(Technical Instructions), UN의 권고사항 등을 반영하여 전 세계 항공업계가 일관된 기준 아래 위험물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DGR의 'Introduction(서론)' 파트는 전체 규정의 기초가 되는 철학, 적용 범위, 법적 근거, 용어 정의, 문서 구조 등에 대한 내용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며, 독자가 DGR의 목적과 전체 틀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DGR의 목적 및 범위 설명

서론의 첫 부분에서는 이 규정이 왜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디에 적용되는지에 대한 목적과 범위를 설명합니다. 항공운송은 속도와 효율성이라는 장점을 지니지만, 고도 및 기압 변화로 인해 위험물에 대한 사고 위험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하여 IATA는 전 세계 항공사 및 화물 운송사들이 따를 수 있는 통일된 안전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DGR은 이 기준을 문서화한 것으로, 화물 취급자, 운송인, 발송인, 포장자, 검사자, 관련 교육기관 등 항공운송과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적용됩니다.

2. ICAO와의 관계 및 법적 근거

IATA DGR은 ICAO(국제민간항공기구)의 'Technical Instructions for the Saf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by Air(항공 위험물 안전 운송 기술 지침)'를 기반으로 하며, 이를 실무적으로 정리하고 민간항공 산업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문서입니다. 즉, DGR은 ICAO의 지침보다 법적으로 강제성은 없지만, IATA 회원사 또는 관련 항공사에서는 실질적인 ‘업계 표준’으로 작용합니다.

이와 함께, UN의 ‘Recommendations on the Transport of Dangerous Goods – Model Regulations’ 즉, 유엔 위험물 운송 권고 모델 규정도 반영되어 있으며, 국가별 규제나 특별한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항공사가 이를 부가적으로 따르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DGR은 단순한 매뉴얼이 아니라, 국제법적 기초와 실제 산업 적용을 연결하는 핵심 문서로 기능합니다.

3. 주요 용어 정의 및 기본 원칙

Introduction 파트에서는 전체 DGR 문서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핵심 용어들을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Dangerous Goods(위험물)’, ‘Consignment(화물 인도)’, ‘Shipper’s Declaration(위험물 신고서)’ 등 실무에서 혼동이 있을 수 있는 용어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간 오해를 줄이고, 업무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기본 원칙에 대한 설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위험물은 분류(Classification), 식별(Identification), 포장(Packaging), 표시 및 라벨(Labeling and Marking), 서류 문서화(Documenting), 운송 조건(Handling & Transport) 등 일련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각 단계에서의 요건을 서론에서 개략적으로 소개하여 이후 본문의 자세한 설명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4. DGR 문서의 구성 안내

마지막으로, Introduction은 전체 DGR 문서의 구조와 각 섹션의 역할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 Section 1: General입니다.
  • Section 2: Limitations입니다.
  • Section 3: Classification입니다.
  • Section 4: Identification입니다.
  • Section 5: Packing입니다.
  • Section 6: Packaging Specifications입니다.
  • Section 7: Marking & Labeling입니다.
  • Section 8: Documentation입니다.
  • Section 9: Handling입니다.
  • Section 10: Radioactive Materials입니다.
  • Appendices입니다.

이러한 안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DGR을 자주 접하는 실무자라 하더라도 매년 바뀌는 규정 내용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 Introduction 섹션을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특히 66판에서는 리튬 배터리와 같은 주요 위험물 품목에 대한 국제적 기준 강화와 그에 따른 문서화 요건이 추가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더욱 중요성이 부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