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목 : UN 3091이란?, UN 3091의 위험물 CLASS 분류,결론

by twotwo3 2025. 4. 13.

기계안에 일차전지가 내장 된 로봇

UN 3091에 대해 약 3000자 분량으로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UN 3091은 **리튬 메탈 배터리(Lithium Metal Batteries)**가 내장된 장비 또는 장치에 적용되는 위험물 코드입니다. 항공, 해상, 육상 운송 시 가장 엄격하게 통제되는 위험물 중 하나이며, 특히 리튬 배터리로 인한 화재 및 폭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국제적으로도 강화된 규정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UN 3091이란?

UN 3091 – LITHIUM METAL BATTERIES CONTAINED IN, OR PACKED WITH EQUIPMENT입니다.

한국어 번역:

UN 3091 – 장비에 내장되었거나 장비와 함께 포장된 리튬 메탈 배터리입니다.

이 UN 번호는 **리튬 메탈 또는 리튬 합금으로 제작된 일차 전지(충전 불가능)**가 다음의 형태로 운송될 때 적용됩니다:

  1. 장비 내에 내장된 경우 (Contained in equipment)입니다.
    예: 의료기기, 측정기기, 군사용 장비 등입니다.
  2. 장비와 함께 포장된 경우 (Packed with equipment)입니다.
    예: 예비 배터리와 본체를 같은 상자에 넣는 경우입니다.

※ 리튬 메탈 배터리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이며, 리튬 이온 배터리(UN 3481)와는 구분됩니다.


리튬 메탈 배터리란?

항목내용
주요 성분 금속 리튬 또는 리튬 합금
충전 가능 여부 ❌ 불가능 (1차 전지)
사용 예시 시계, 의료기기, 군사용 장비, 센서
위험 요소 과열 시 화재 및 폭발, 물과 반응 시 수소가스 발생

리튬 메탈은 화학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크며, 특히 충격, 단락(쇼트), 고온 환경에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UN 3091의 위험물 CLASS 분류

분류 항목내용
위험물 Class Class 9 – 기타 위험물 (Miscellaneous Dangerous Substances)
라벨 흑백 스트라이프 Class 9 라벨 + 리튬 배터리 표시 라벨
UN 번호 “UN 3091” 명시 필수
위험 요소 화재, 열 폭주, 가스 방출, 화학 반응 등

적용 시나리오

상황분류 여부
리튬 메탈 배터리가 본체 안에 장착된 상태 UN 3091 (Contained in equipment)
배터리와 장비를 같은 박스에 포장 UN 3091 (Packed with equipment)
리튬 메탈 배터리 단독 운송 ❌ UN 3090에 해당
리튬 이온 배터리 포함 장비 ❌ UN 3481에 해당

포장 규정 (Packing Instructions)

국제 항공 운송 협회(IATA) 기준에 따라 다음 포장 규칙이 적용됩니다:

PI 969 – 장비 내 내장된 배터리 (Contained in Equipment)

  • 배터리 수량 제한: 장비 1당 2개 이하 권장 합니다.
  • 단락 방지 조치 필요 (예: 절연 테이프) 합니다.
  • 외부 충격 및 분리 방지 포장 필수입니다.
  • 리튬 배터리 라벨 부착 합니다.

PI 970 – 장비와 함께 포장된 배터리 (Packed with Equipment)

  • 장비와 배터리 분리 포장 시, 동일 박스 내 별도 보호구조 필요합니다.
  • 총 리튬 함량 기준 이하일 경우, 일반 운송 가능 합니다.
  • 기준 초과 시, Class 9로 분류 및 위험물 서류 요구 합니다.

라벨 및 서류 요건

항목내용
UN 번호 “UN 3091” 표기
Class 라벨 Class 9 라벨 부착 (흑백)
리튬 배터리 라벨 🔋모양 라벨 (배터리 파손 시 화재 위험 안내 포함)
서류 운송서류(DGD), 배터리 테스트 요약(TSR), MSDS, 포장 명세서 등
수량 초과 시 위험물 선언서(Dangerous Goods Declaration) 필수

예외 규정 (Excepted Quantities)

리튬 메탈 함량이 최대 2g 이하인 경우,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부분 예외 적용이 가능합니다:

  • 장비에 통합되어 있고 분해 없이 분리 불가가 가능합니다.
  • 단락 방지 조치 완료됩니다.
  • 적절한 포장 상태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리튬 배터리 라벨만 부착, Class 9 라벨 생략 가능합니다.
  • 문서화 간소화 (위험물 선언서 생략 가능)가 가능합니다.

※ 이 조건을 초과하면 일반 위험물 취급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사고 사례 및 안전 주의사항

주요 위험

  • 배터리의 손상 → 내부 단락 → 열폭주(Thermal Runaway) → 화재 주의 위험합니다.
  • 금속 리튬이 물과 반응 → 수소 발생 및 폭발 주의 위험합니다.
  • 운송 중 충격, 진동, 압착으로 배터리 팽창 및 폭발 주의 위험합니다.
  •  

실제 사고 예

  • 2010년 UPS 화물기 화재: 리튬 배터리에서 시작된 화재로 기체 전소되었습니다.
  • 2013년 일본 ANA 항공기 긴급 착륙: 리튬 배터리 과열되어 사고가 났습니다.
  • 2016년 삼성 갤럭시 노트7: 리튬 배터리 결함으로 대규모 리콜되었습니다.

국내 적용 법규 (대한민국 기준)

법령적용 내용
화학물질관리법 리튬 함유 전지는 유해화학물질 아님 (단, 반응 시 유해가스 유의)
고압가스안전관리법 해당 없음
위험물안전관리법 대량 저장 시 일부 적용 가능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장 내 취급 시 보호장비 및 교육 필수

결론

UN 3091장비에 내장되었거나 장비와 함께 포장된 리튬 메탈 배터리에 부여되는 국제 위험물 번호입니다. 리튬 메탈 배터리는 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이며, 화재 및 폭발 위험이 매우 높은 물질로 분류되어 Class 9 – 기타 위험물로 취급됩니다.

운송 시에는 국제 규정에 따른 포장, 라벨, 문서화가 철저히 요구되며, 일부 조건을 충족할 경우 예외 적용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든, 리튬 배터리 관련 물류는 전문가 수준의 관리와 규정 숙지가 필요합니다.